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
- DALL-E
- 웹크롤링
- chatGPT
- 카나리배포
- 책임분리
- JSON
- 오블완
- java17
- Python
- chaosengineering
- 티스토리챌린지
- 무상태
- 웨크롤링
- MSA
- 레이어패턴
- web crowling
- 포트바인딩
- 블루그린배포
- 쳇지피티
- WSL
- temurin
- ci_cd
- 티어구조
- API
- xmlschema
- 클라우드네이티브
- 3티어아키텍처
- AI
- 12factorapp
- OpenAI
- Today
- Total
목록2024/02 (12)
Nacho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MQgI/btsFhUZwCAu/qwts0KLAXDJRuqBKc4izAK/img.png)
자 pandas 를 복습해보자. #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import pandas as pd # 아묻따 import 갈겨버리깅 데이터 프레임 (DataFrame) 생성 1. 딕셔너리를 이용한 방법 # 딕셔너리 만들기 dict1 = {'Name': ['Gildong', 'Sarang', 'Jiemae', 'Yeoin'], 'Level': ['Gold', 'Bronze', 'Silver', 'Gold'], 'Score': [56000, 23000, 44000, 52000]} df = pd.DataFrame(dict1) Output: NAME Level Score 0 Gildong Gold 56000 1 Sarang Bronze 23000 2 Jiemae Silver 44000 3 Yeoin Gold 52000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N5eN/btsFg49haip/8ozGpLoscBv3zN1k3NNpoK/img.png)
자 numpy 를 복습해보자. import numpy as np #묻따 import 갈기기 np_arr = np.array([1,2,3]) np.array([list]) 로 numpy array 를 만들 수 있다. np.array.ndim() ndim 속성으로 배열 차원을 확인합니다. print(arr_1D.ndim) # 1차원 배열 Output 1 print(arr_2D.ndim) # 2차원 배열 Output 2 print(arr_3D.ndim) # 3차원 배열 Output 3 배열의 차수를 확인 할 수 있다. np.array.shape() shape 속성으로 배열 형태를 확인합니다. print(arr_1D.shape) # 1차원 배열 Output (5,) print(arr_2D.shape) # 2차원..
기본 문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기에 수업 중 풀이했던 연습문제와 복습문제를 살펴보겠다. 1. 함수 생성 및 활용 여러 개의 숫자를 입력받아 평균을 계산하여 출력(print)하시오. n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' '))) def get_mean(arr): total = 0 for i in arr: total += i mean = total/len(arr) return mean print(get_mean(n)) Input : 3 3 3 3 3 3 Ouput: 3.0 입력을 여러개 받는게 이렇게 받으라는 뜻이 아니였다..ㅎ 여러 개의 숫자를 입력받아 합계와 평균을 계산하여 출력(return)하시오. def mean(*nums): sums = sum(nums) mean = sums..
기본 문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기에 수업 중 풀이했던 연습문제와 복습문제를 살펴보겠다. 1. 조건문 연습문제 [문1] math, korean, history에 임의의 점수를 각각 저장하고, 다음의 조건에 맞게 출력하시오. - 각 점수중 하나라도 70 미만이면 'fail'아니면, 'pass' math, korean, history = 60, 70, 70 # if math >= 70 and korean >= 70 and history >= 70: # print('pass') # else: # print('fail') if all([math >= 70, korean >= 70, history >= 70]): print('pass') else: print('fail') Output: fail [문2] math..
기본 문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기에 수업 중 풀이했던 연습문제와 복습문제를 살펴보겠다. 1. 리스트 연습문제 50부터 0 전까지 4씩 감소시킨 값을 리스트로 저장하고 출력하시오. list_test = [i for i in range(50,0,-4)] list_test Output: [50, 46, 42, 38, 34, 30, 26, 22, 18, 14, 10, 6, 2] 다음 항목들로 리스트 '한글'를 생성하시오 '가','나','다','라','마','바','사' 한글 = ['가','나','다','라','마','바','사'] 한글 Output: ['가', '나', '다', '라', '마', '바', '사'] [문1] 리스트 list1에 1, 3, 5, 7을, 리스트 list2에 2, 4, 8을 저장하고,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yaNEl/btsFcN7R2SW/qXA2jaMhHRIRkkk9tksx2k/img.png)
Git이란? 분산버전관리시스템이다. 항상 git을 사용할떄 사용한 명령어는 git clone git init git add . git commit -M 'commit' git push 위 코드들만 주구장창 사용하며 branch와 같은 고오급 스킬들은 나와 거리가 좀 있었다.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. Git Graph와 함께라면..!!! 강의 중 알게된 vscode 익스텐션이다. 7million 피플들 왜 나에게 말해주지 않았나.. Git Gragh를 사용하여 Brach와 main, origin의 현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뒷 내용은 강의에서 GUI에서 설명한 내용들을 CLI명령어로 설명하고자한다. 우선 conda promt의 시작 위치를 변경해보자. 그냥 몸이 편하고자 하는 설정입니다.(git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