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
- OpenAI
- 클라우드네이티브
- DALL-E
- chatGPT
- xmlschema
- Python
- 포트바인딩
- web crowling
- 책임분리
- 웹크롤링
- 티스토리챌린지
- API
- java17
- AI
- 무상태
- MSA
- JSON
- 쳇지피티
- ci_cd
- chaosengineering
- temurin
- 카나리배포
- 블루그린배포
- 레이어패턴
- 티어구조
- 3티어아키텍처
- 12factorapp
- 웨크롤링
- WSL
- 오블완
- Today
- Total
목록2024/02/23 (4)
Nacho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mnIu/btsFgOeGfQU/c3JekGP9Ii5KJ9kOJ1Ic31/img.png)
a = input() 입력으로 input() 함수를 사용한다면 문자열을 받아오는 데 시간이 생각보다 많이 소요된다. 입력값이 많은 문제를 만나면 시간초과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... sys.stdin.readline() import sys # 아묻따 import 갈겨버리기 a = sys.stdin.readline() 이때 sys.stdin.readline()을 사용하면 된다. 프로그래머스에서 코테 공부를 진행한 나로서는 생소한 함수였는데 에이블스쿨 코딩마스터스에서 처음 만났다. sys.stdin.readline() 은 개행문자 "\n"을 포함하기 때문에 .strip()로 제거해줘야 한다. 사용법 정수 하나를 입력으로 받을 때 import sys a = int(sys.stdin.readline()) 문자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5l50/btsFeT119W6/bKKhOGdqTkW2g77CmelBOK/img.png)
자 pandas 를 복습해보자.(2) 공부한 내용을 다 적어 올리고 싶은데 데이터프레임 옮겨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.. #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import pandas as pd # 시작은 언제나 아묻따 import 갈겨버리깅 pd.DataFrame.groupby() 데이터프레임을 다루면서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. 빅분기 1과목 공부하면서 가장 나를 힘들게 했던 녀석... pandas 공식문서에 따르면 pd.DataFrame.groupby() 와 pd.Series.groupby()가 나뉘어 있다. https://pandas.pydata.org/docs/reference/groupby.html 자세한 건 여기로... # 데이터 읽어오기 df = pd.read_csv('https://raw.g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MQgI/btsFhUZwCAu/qwts0KLAXDJRuqBKc4izAK/img.png)
자 pandas 를 복습해보자. #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import pandas as pd # 아묻따 import 갈겨버리깅 데이터 프레임 (DataFrame) 생성 1. 딕셔너리를 이용한 방법 # 딕셔너리 만들기 dict1 = {'Name': ['Gildong', 'Sarang', 'Jiemae', 'Yeoin'], 'Level': ['Gold', 'Bronze', 'Silver', 'Gold'], 'Score': [56000, 23000, 44000, 52000]} df = pd.DataFrame(dict1) Output: NAME Level Score 0 Gildong Gold 56000 1 Sarang Bronze 23000 2 Jiemae Silver 44000 3 Yeoin Gold 52000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N5eN/btsFg49haip/8ozGpLoscBv3zN1k3NNpoK/img.png)
자 numpy 를 복습해보자. import numpy as np #묻따 import 갈기기 np_arr = np.array([1,2,3]) np.array([list]) 로 numpy array 를 만들 수 있다. np.array.ndim() ndim 속성으로 배열 차원을 확인합니다. print(arr_1D.ndim) # 1차원 배열 Output 1 print(arr_2D.ndim) # 2차원 배열 Output 2 print(arr_3D.ndim) # 3차원 배열 Output 3 배열의 차수를 확인 할 수 있다. np.array.shape() shape 속성으로 배열 형태를 확인합니다. print(arr_1D.shape) # 1차원 배열 Output (5,) print(arr_2D.shape) # 2차원..